목록CPIM (9)
Life of Pru

CEO level : 회사가 어떻게 가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수립Vision: Shared perception of org's futureMission: The overall goalCore Values: the way to org operate :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 ⬇️ Organization Strategy : Where to / How to?1) Business 2) Competitive Advantage Internal / External Information ⬆⬇1) Environment2) Industry3) Competitors4) Organization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Analysis External environment 1) PESTEL..
Forecasting Principles 1) Forecasts are almost always wrong 2) Every forecast should include an estimate of error 예측은 항상 틀리기 때문에 반드시 오차를 포함해야 한다 오차 error는 시그마로 나타냄 바이아스가 없어야 정규분포 모양을 띔 (바이아스는 무조건 예측오차 분석 후 없어야함) 🌟3) Forecasts are more accurate for large groups of items than for individual items in a group 예측은 각각의 품목보다 전체 그룹단위에서 더 정확하다 =예측은 두루뭉실하게 했을때 더 정확함 →예측정보는 더하면 더할수록 오차가 더 커짐 / 조건이 붙으면 붙을수록..

I. 수요의 종류 Independent Demand 독립수요 vs. Dependent Demand 종속수요 BOM(자재명세서) 를 보면 구별할 수 있음 Parent (Independent) 상위 품목 / 제조된다는 뜻 Child or components (dependent) 하위품목 이라고 부름 e.g. Bicycle - Independent / Wheel, frame, Hardware kit - Dependent Demand 자전거: 불특정다수의 수요 (누가, 언제, 몇개를 가져가는지 수요가 파악이 안됨) ➡️수요예측 (종속수요는 자전거라는 특정 대상이 있기 때문에 가능함) 수요패턴 : Continuous (연속적) 수요가 많이 나가고 적게 나가는 것을 기울기가 나타냄 완만: 수요가 천천히 나가는 것 ..

I. Types of Demand 1. Independent demand 독립수요 : 수요예측을 한다 = 독립수요에 대해서 하는 것 품목 : 완제품, 독립제품 불특정다수에 의해서 꾸준히 사용하는, 언제 누가, 몇개를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때 Who, When, How-much 정보가 정확하게 파악이 안되는게 특징 그렇기 때문에 예측을 하는 것 2. Dependent demand 종속수요 : 누가 쓰는지, 언제 쓰는지, 몇개 쓰는지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함 = 계산이 가능하다 품목: 생산되거나 구매되는 아이템 상위 품목의 생산 계획을 알면 수요가 언제, 몇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맞춰서 공급계획을 짤 수 있음 🙋🏻♀️만약에 수요가 바뀌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 생산계획에는 바뀌지 ..

👩🏻🏭Supply Chain 의 정의👩🏻🏭 I. Supply Chain (Relationship) : A supply chain is defined as a set of three more entities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directly involv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flow of products, services, finances, and/or information from a source to a customer. ➡️상류와 하류 사이에 있는 세개 이상의 개인 또는 기업들이 직접적으로 통합되어있는 형태 ➡️공급과 수요가 서로 연결되어있는 상태, 재무, 서비스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관계를 Supply Chain..

[CPIM이 끝나고 또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방향성을 잡을때 도움이 되라고 기록해두는 글] CPIM 을 공부하기 시작한 이유는... 경영학도로서 뚜렷하게 배운게 있었나, 나는 과연 4년의 대학과정동안 무엇을 배웠나? 라는 회의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정~말 전공이랑 맞지 않아 학부생활 내내 고생을 많이했고 (뼛속까지 찐 문과생인 내가 상경대? 제 꿈은 기자였는데 말이죠 🥹) 편입도 시도해보고,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실패) 결국 학부시절 그래도 가장 즐겁게 공부하고 잘했던 OM/SCM 으로 직군을 선택했다.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직관적인 시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쪽 분야로 좀 더 전문적이고 확실한 지식을 쌓고 싶다고 생각하고 본격적으로 시작한게 전공 관련 서적을 읽는 일이였다. 📎 로지스틱스 ..
I. Supply Chain (Relationship) = supplier partnership= strategic alliance 🌟Supply: 우리가 생산을 하거나 유통을 할때 자재를 받거나 아니면 제품을 받는것을 공급을 받는다 라고 표현함 제품/재료를 받는걸 Supply 라고 함 🌟Supply Chain: 공급을 받을때 재료를 한군데서 받게 되면 Supply Chain 이라고 부름 Ex) 이러이러한 완제품에 서플라이 체인을 맺고 있다 = 재료를 정해놓고 한군데에서 공급을 받는다는 뜻 한국기업 such as LG전자, 삼성전자에서는 잘 하지 않음. 현대차에서 쓰는 어떤 부품을 현대모비스에서 받는 정도는 함. (같은 회사라 가능, 하지만 다른회사하고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음) 우리나라 시장, 우리나라 ..

👩🏻🏭 Manufacturing Enviroment (제조환경)👩🏻🏭 I. 제조공정 1) 대량생산: 생겨난지 약 100년. ex) 자동차 생산라인 -> 물건 -> 사회발전 (포드) 2) 주문생산: 1800년대- 고객의 주문을 기다림 [제조가 이뤄 지기 전] Competitive Advantage (경쟁력: 싸니깐, 주문하면 날짜를 맞춰주니깐, 품질이 좋으니깐 / 수요정보를 받을 수 있게!) + Business environment (사업환경 / 마케팅 영업담당 : 요즘엔 사람들이 이런이런걸 원하고 가격은 이렇게 측정) ↓ Demand Information (수요 정보) ↓ Manufacturing (제조) : A series of interrelated activities and opera..
👩🏻🏭제조공정/설비배치👩🏻🏭 I. Manufacturing Process (물건을 만드는 절차) : Manufacturing process is the series of operations performed upon material to convert it from the raw material or a semi finished state to a state of further completion. ➡️재료를 가지고 중간 완제품 상태나 좀 더 완성된 상태로 바꾸기 위한 작업들, 작업 설계 단계에서 절차를 정하게 되어있음 = 표준작업, 시간들도 정해져 있음 → 기계+사람을 맞춰서 훈련시킴 회사마다 물건을 만드는 절차가 다 다름 이용 및 품질이 결과물로 결정됨 좀 더 잘만드는 절차를 가진 회사가 살아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