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of Pru
[CPIM] Ch.2 Types of demand 본문
I. 수요의 종류
Independent Demand 독립수요 vs. Dependent Demand 종속수요
BOM(자재명세서) 를 보면 구별할 수 있음
- Parent (Independent) 상위 품목 / 제조된다는 뜻
- Child or components (dependent) 하위품목 이라고 부름
e.g. Bicycle - Independent / Wheel, frame, Hardware kit - Dependent Demand
자전거: 불특정다수의 수요 (누가, 언제, 몇개를 가져가는지 수요가 파악이 안됨)
➡️수요예측 (종속수요는 자전거라는 특정 대상이 있기 때문에 가능함)
수요패턴 : Continuous (연속적)
수요가 많이 나가고 적게 나가는 것을 기울기가 나타냄
완만: 수요가 천천히 나가는 것
가파를때 : 수요가 빠르게 나가는것
독립수요: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수요가 일정하게 나감
수요패턴: Lumpy (띄엄띄엄)
자전거 450에 대한 생산기획이 잡혔을때만! 나감
공급받는 품목, 생산하는 품목이던 필요한 수요에 맞춰서 공급이 가능하다면 미리 계산된 수요에 맞춰서 주문해서 물건이 들어올 수 있게 함
Lead Time: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기간)
수요와 공급량은 차이가 있음 (수요와 똑같이 맞춰서 공급하기는 좀 어려움)
고정비가 있다면...
Parent item: 생산되는 품목
밑에 아무것도 없으면 구매되는 품목
A1, B1 = 직접 제조
M1, H1, K1 은 사오거나 소싱업체가 라고 이해
BoM- 맨위가 0번, 그아래 1번, 2번 순서
BoM을 구성할때는 특정 레벨의 아이템이 두개~많아야 네개 정도가 적당함
Independent Demand 다른품목의 수요와 관계 없는 수요
: An independent demand is a demand that is not based on the demand for another item while a dependent demand is based on the demand for another item 상위품목.
- Independent demands tend to be demands for such items as finished goods 완제품, office supplies, MRO (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ng) items 소모품 , service parts 고객이 고장나서 찾아와서 갈아지는 부품이기때문에 완제품이 아니라 부품의 형태, and anything else for which the dependency is unknown
🌟위의 세가지 절대 잊지 말기! 완제품, 소모품, 서비스품목
서플라이체인에서 많이 관심을 갖는 품목은 역시 완제품
기업에서 완제품을 공급: 제품군 분리, 영업계획 수립, 이안에서 end item (판매대상) 구성, 시장에 뿌림
그러므로 수요예측을 할때는 end item 대상이 아닌 제품군을 대상으로 예측함
🌟중요개념🌟
B= A1에 쓰이고, A1 의 생산계획이 나오면 거기에 맞춰서 수요가 계산 = 종속수요
B=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파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파트에서 매주 100개씩 사용
➡️B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종속수요이나 서비스 파트로 사용될때는 독립수요이다.
Gross Requirements 모은다..!
: B가 A1에만 사용되는 아이템이 아니라 A1, A2, A3 에도 공통적으로 쓰이는 아이템이다, 서비스 품목에도 사용된다.
: 이런 경우에는 완제품의 생산계획을 보고 수요정보를 합산하고 정보를 취합해야 한다.
Independent Demand (Demand Pattern)
독립수요에서의 수요예측
- Trend 점: 수요정보 - 추세를 알 수 있음 / 가까운 미래도 그 패턴대로 감
- Seasonality 비수기 성수기 하늘색 라인 / 과거의 수요패턴을 가지고 예측
- Economic Cycle 경기 : 앞의 경기보다는 좋을 것 같다
➡️수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위의 세가지를 가지고 예측을 한다.
= 수요예측을 한다는것은, 추세를 보고 추세를 예측하고 비수기 성수기 예측, 경기를 예측한다는것.
✓수요 예측을 잘못되었다는 이야기 : 추세 분석 잘못되었거나, 비수기 성수기가 바꼈거나 파악을 못했거나 경기를 파악을 못했을때
➡️오차가 생김
실제 데이터는 겹쳐서 나오고 정확하게 예측한대로 나오지 않음
- Random Variation 오차로 계산되는것 → Deviation으로 파악 (Error, 오차)
- 날씨, 경쟁자의 신제품, 등등 그 수에 영향을 받는 변수들이 다양함
- 처음에는 Deviation 이 컸다가 나중에 영향을 받는 변수들을 파악하면 점점 작아지게 됨
- 어려운 경우: 데이터가 많이 주어지지 않는 아이템들이 어려움
- 예측치가 정확해지면/오차를 줄이면: 재고를 적게 가짐 (왜냐면 정확히 재고를 준비할 수 있음)
- 예측이 안맞으면 재고를 넉넉하게 준비해야함
- Error ↓ Inventory ↓
Dependent Demand 종속수요
: Demand for item (called lower level or child item), manufactured or purchased items, that does not occur until there is a demand for another item (called higher level or parent item)
제조되어지거나 구매되는 아이템
: Also, where demand for the higher level or parent item can be satisfied only if the lower level or child items are available
상위품목에 대한 공급은 하위품목에 대한 수요가 충분히 준비되어야 가능하다
Product Hierarchy 제품의 계층구조
Product group (family)
- Market segment
- Manufacturing similarity
- 6~12 groups
1) Business Planning
Yearly, 10-20 years, Top management
2) Sales & Operations Planning
Monthly, 24-36 months, Top Managment
3)Master Scheduling
Weekly, 26-104 weeks, Scheduler(실무 담당자가 짬)
플래닝을 돌리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 : 수요 정보 Demand Information Forecasting (완제품 단위이기 때문에 예측치가 필요함)
예측을 어디에서 하는가, 예측을 어떻게 하는가는 굉장해 중요함
- Forecasting parameters
- Fore casting unit 어떤 품목에 대해서 예측을 할 것인가?
- Horizon and interval (기간 간격)
🌟Planning System🌟
Cummulative LT (전체 걸리는 시간)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 핵심 자원을 확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서 계획기간을 잡음
Master Schedule
: 공장에서 재료를 사서 센터까지 보낼때까지 걸리는 총 시간을 보고 계획을 잡음
Demand Management 수요관리
The function of recognizing and managing all of the demands for products/product groups for the purpose of planning
제품이나 제품군의 계획을 위해서 수요정보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하는것을 수요관리라 한다
이러한 수요관리를 하는 담당자를 Demand Manager 이라고 부른다
이 디맨드 매니저는 세가지를 확인한다
1) Order Management 주문정보
2) Forecasting 예측🌟 가장 중요하고 어려움 🌟
3) Distribution planning 유통
'CP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IM Wrap up 1/4 (3) | 2024.03.26 |
---|---|
[CPIM] Ch.2 Forecasting principles and techniques (0) | 2023.03.20 |
[CPIM] Ch.2 Introduction to demand forecasting (0) | 2023.03.06 |
[CPIM] Ch.1 Elements of Supply Chain (1) | 2023.03.01 |
[CPIM] 잡담. 공부의 방향성에 대해서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