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
Life of Pru
시험이 정말 한달앞으로 다가왔고, 나는 복기만 외우는 사람이 되었다. 지난 하반기는 어쩌다보니 (?)자소서파이터가 되어 무스펙자가 면접을 보러다니느라 바빴는데, 결국 결정적으로 실무경험 (솔루션 사용경험 X, 업무 이해도 낮음 : 당연함 실무경험이 없는 생신입이라)그런 과정들이 나를 더욱 더 공부하고 싶게 만들었고우리나라에서 이 분야를 깊게 파고들어 Supply Chain 에 미친놈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도 지난 몇년간 꽤 주의깊게 관찰한 결과우리나라는 SCM 에 비교적 관심이 덜 한게 맞는것 같다. : 이건 아무래도 땅덩이가 좁기도 하고, 기업의 전반적인 규모가 어느정도 있어야 진행이 되는게 SCM이다 보니.. 그렇지 않나 싶다.땅이 크고 제조업을 크게 갖고갈 수 있는 나라들이 우세할 수..

CEO level : 회사가 어떻게 가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수립Vision: Shared perception of org's futureMission: The overall goalCore Values: the way to org operate :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 ⬇️ Organization Strategy : Where to / How to?1) Business 2) Competitive Advantage Internal / External Information ⬆⬇1) Environment2) Industry3) Competitors4) Organization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Analysis External environment 1) PESTEL..
Forecasting Principles 1) Forecasts are almost always wrong 2) Every forecast should include an estimate of error 예측은 항상 틀리기 때문에 반드시 오차를 포함해야 한다 오차 error는 시그마로 나타냄 바이아스가 없어야 정규분포 모양을 띔 (바이아스는 무조건 예측오차 분석 후 없어야함) 🌟3) Forecasts are more accurate for large groups of items than for individual items in a group 예측은 각각의 품목보다 전체 그룹단위에서 더 정확하다 =예측은 두루뭉실하게 했을때 더 정확함 →예측정보는 더하면 더할수록 오차가 더 커짐 / 조건이 붙으면 붙을수록..
로봇과 물류 자동 창고의 활용법 물류 프로세스 1)옮기는 공정 2)싣는 공정 모든 물품: 어딘가 보관→ 운송수단에 적재→ 목적지까지 배송 보관, 적재 공정 : 인력난 심각 자동창고 : 입고-보관-출고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가능 지게차로 닿을 수 없는 높은곳도 보관 장소로 이용 가능 보관 하역 자동화와 공간 이용 효율 극대화 실현, 획기적 혁신 그러나 원리상 구조적인 난점이 있기 때문에 부분적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음 1) 입출고가 특정 장소에 한정, 기계가 작업을 하고 취급량이 급증하면 상황에 따라 유연한 대처 불가 2) 화물 크기가 변경되는 상황에도 대응 불가능 → 랙에 올릴 수 없는 큰 화물은 격납 불가능, 작은 화물 수납하면 공간이용 효율 떨어짐 등 3) 도입 비용 → 일반 창고보다 훨씬 많..

I. 수요의 종류 Independent Demand 독립수요 vs. Dependent Demand 종속수요 BOM(자재명세서) 를 보면 구별할 수 있음 Parent (Independent) 상위 품목 / 제조된다는 뜻 Child or components (dependent) 하위품목 이라고 부름 e.g. Bicycle - Independent / Wheel, frame, Hardware kit - Dependent Demand 자전거: 불특정다수의 수요 (누가, 언제, 몇개를 가져가는지 수요가 파악이 안됨) ➡️수요예측 (종속수요는 자전거라는 특정 대상이 있기 때문에 가능함) 수요패턴 : Continuous (연속적) 수요가 많이 나가고 적게 나가는 것을 기울기가 나타냄 완만: 수요가 천천히 나가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