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M Wrap up 1/4
CEO level : 회사가 어떻게 가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수립
Vision: Shared perception of org's future
Mission: The overall goal
Core Values: the way to org operate :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
⬇️
Organization Strategy : Where to / How to?
1) Business
2) Competitive Advantage
Internal / External Information ⬆⬇
1) Environment
2) Industry
3) Competitors
4) Organization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Analysis
External environment
1) PESTEL Analysis : External + Macro
2) 5 Forces Analysis : External + Micro
🧙♂️경쟁의 정도 : Competition 의 정도 는 Profit 에 직결
경쟁의 정도가 약하면 Profit 이 올라감!
그렇기 때문에 Rivarly among existing competitors 가 어떨때 강해지고 어떨때 약해지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함.
Five forces 경쟁강도 알아두기.
Internal Environment
1) SWOT : SW/ 내부 OT/외부 (이부분은 External 로 consider 가능)
2) PLC (Product Life Cycle) : 각 단계에서 Likely order winners 확인/Low price 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 / Order live fill rate 확인
- 주문이 들어왔을때 existing inventory 를 바탕으로 가능한지를 봐야함
Roll over strategy : 쇠퇴 단계에서 add feature, collaboration 등을 통해서 천천히 그 속도를 늦춰서 떨어지게 하는 것
🧙♂️지피티가라사대 = 걍 개인적으로 참고하려고 넣어놓은 내용임!
Order fill rate(주문 충족률)은 고객이 요청한 제품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문 충족률은 보통 주문된 제품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얼마나 제때 제공할 수 있는지를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Product Life Cycle (제품 수명 주기)와 Order Fill Rate (주문 충족률) 사이에는 일부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제품 수명 주기는 제품이 개발되어 소비자에게 도입되고 성장하며 포화되고 감소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주기는 주로 개발, 성장, 성숙, 포화 및 감소 단계로 구성됩니다. 이에 따라 제품이 다양한 단계를 거치면서 수요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주문 충족률은 제품 수명 주기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성장 단계에서는 제품 수요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주문량도 증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주문 충족률을 유지하는 것은 이 단계에서 중요합니다. 또한 성숙 단계에서는 수요가 안정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문 충족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산 및 공급망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 수명 주기의 각 단계에서 주문 충족률을 고려하여 적절한 생산 및 공급 체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성공적인 관리와 고객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Value Chain
Primary activitity : 반드시 있어야하는 Primary activity
-> Inbound(들어와) Operation(그걸 기준으로 만들고) Outbound(나가라/뿌려라) Marketing CS
For this activity below infratruction (support activity)is required
1) Procurement
2) Information (정보시스템)
3) HR
이렇게 확장하면서 Value add up 된다고 표현을 함..!
이 Value Chain에서 해야하는게 어떤 비효율을 찾는걸
➡️VALUE STREAM MAPPING 기법 이라고 부름
이 단계가 끝나면 Org strategy 에 적용해서 WHERE TO/ HOW TO 결정 / 어디서 어떻게 경쟁할겨
1) 뭐.. 해외시장? 국내시장?
2) 효율화 중심(efficiency focus) 차별화 중심 (differentiation focus) 어케할겨~?
⚠️중요함⚠️
1) Market Penetration -> Increase market share by M&A
M&A 의 두가지 형태
- Vertical : 나를 중심으로 서플라인 체인에 있는 (업스트림 다운스트림 애들 M&A)/ Control 가능 , visibility 증가
- Horizontal : 같은 레벨인 애들을 M&A / Focus on core competency
Design for supply chain(DFS) 관점에서 봐조잉! EOS=Economy of Scale
1) Standardization - Component Commonality부품의 공동화 [제조의 측면임!]
(EOS 가 가능해요~ 부품의 표준화로~^^/ 제조입장 굿인데 디자인 입장에선 별로)
그래서 모듈화 (Modularity) 해줄 수 있음! 그럼 첫번째로 First action is planning BOM (BOM 잘 모름 ㅜ 확인해라..)
= Modular BOM
2) Simplification: 제조하고 조립하기 쉽게 하그라잉!
Universality : [Marketing 의 측면] = One Size fit item
DFMA
Marketing & Assembly
⚠️Robust Engineering (design)⚠️
외부변수 상관없이 적어도 우리가 기대한 수준에 맞춰 나올 수 있게
3) Customization
의 비엔나 소세지 줄줄이 시작!
ATO (Assembly to order) 어디까지는 만들어놓고 (Push) 🌟 고객의 주문에 의해 땡김 (Pull) 전략 기억해
🌟 = Customer Order Decoupling Point / Demand Supply rate 조절은 재고를 이용해서 해야함
이단계에서 1) 재고 , 2) 생산계획 (Master Scheduling)
Push : Forecasting + 진짜 Order = 생산계획
DFL(Design for Logistics)
1) Logistics : Cost center (비용절감이 핵심임)
핵심요소 두가지 : Warehouse / Transportation
-> Cube Utilization 한번 실고 갈때 마니마니 실어야함
(PULL!! Utilization)
DFE (Design for Environment)
두개중요해
1) Cradle to Cradle 요람 투 요람
= 제품 만들고 수명 다되면 그 재료를 갖다가 재활용해서 다른제품에 활용해야함
2) Cradle to grave 요람 투 무덤
= Life Cycle Assement (LCA) 제품 개발 생산 폐기까지..~ 관여! (자연친화적으로.. 빨리 썩으쇼)
- Delayed differentitation
- Postponement
- Push-Pull Strategy (젤루중요)
Global integration & Standardization
1) Global Strategy : Think global, Act global 모든것을 표준화시킴!
본사에서 모든 지침을 정함, 전세계적으로 원칙 / 프로세스 적용-> Headquarter Centralize
Decision making is centralized
(Franchise ? Export? Subsidiates?) = Where to 어디에서 경쟁할겨~
얘랑 완전 반대되는게
2) Multi Domastic :Think Local Act Local
그쪽 환경, 시장에 맞춰서 전략 세우는것
그리고 둘을 적절하게 섞어놓은게
3)Transnational (Glocalization)
그래서 가로축 (Local Responsiveness) 과 세로축(Global integration & Standardization) 을 맞춰보면 저 세개를 당연히 맞출 수 있음!
그래서 어떻게 경쟁할건데??
HOW TO COMPETE?
1) Cost Focus
Low-cost Provider - efficiency Focus 무적권 싸야함!
싸려면 표준화(standardization) = MTS
Efficiency = Output/ Input 얼마를 투입했는데 얼마가 나왔다~
Flow = 똑같은 제품을 Repetitive 반복해서 계속 생산
2) Differentiation
MTO (주문해서 그때그때 만들어주면 되니깐)
= Flexibility 유연성 / Responsiveness 대응성 이 중요
JOB SHOP (JOBBING) Intermittent 하게 하나하나 descriptive하게 생산
- MTO 이것도 저것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계들을 모아놓음
- General Purposed equipments are grouped = need to set up
= set up 시간이 길어서 Lead Time 이 길어
= 여기서 파생된게 JIT (One piece flow 주문 들어오는 순서대로 만들어야함) = sufficient & stable demand / dependability 강조
Kanban : 그 내가 생각했을땐 센과 치히로에서 가마할아범이 카드 받으면 뭐 만들기 시작했던거.. ㅋㅋㅋㅋㅋㅋ 미쳤나 ㅜ
🧙♂️지피티센세
칸반(Kanban)은 일본에서 개발된 생산 및 작업 관리 방법론입니다.
칸반은 일본어로 "시각적인 카드" 또는 "안내판"을 의미하며, 생산 과정이나 작업 흐름을 시각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칸반 시스템은 작업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칸반 보드를 사용합니다. 칸반 보드는 일반적으로 세로로 구분된 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작업 단계를 나타내는 레이블이 붙어 있습니다. 작업은 이러한 칸반 보드 상의 칸을 따라 이동하면서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칸반은 다음과 같은 주요 원칙에 기반하여 작동합니다:
- 시각화: 작업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작업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한계량 제한: 각 작업 단계에 대해 허용되는 작업 항목의 최대 한계량을 정하여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 작업 흐름 최적화: 작업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병목(bottle neck) 현상을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칸반은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 제조업,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작업 흐름의 시각적 관리와 작업량 제한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Kanban : What When How many? created by customer order
주문 들어왔을때 비슷한것끼리 좀 모아가지고 생산해서 칸반으로 내림
(A-A / B-B/ C-C 요딴식으로) 레벨링
그게 바로
Heijunka Box (주문 받아서 모아서 비슷한것끼리 생산할 수 있도록)
그럼 가능한 형태가 저 위에 에이에이 이딴게 Leveling 이라 부름
⚠️Takt Time 계산문제 나옴⚠️ = Cycle time 이랑 같음 : 제품 하나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 Customer Order leveling + 내가 할 수 있는것
= Available production time / Average Customer demand
Set up time reduction = Waste
(SMED=Single Minute Exchange of Die)
: set up 시간을 10분내로 만들기
Internal setup : 기계가 멈추는 동안에 셋업
External setup : 기계가 돌아가는 동안에 셋업
Line Balancing 알아두시오.
공정의 속도는 같아야 걸리지 않고 쭉 가는데
ㅇ ㅇ ㅇ ㅇ ㅇ ㅇ ㅇ
이러면 저 빨간애가 Bottleneck 임 (Constraint)
TOC 관점 (Theory of Constraints)
그럼 여기서 써야하는게~! Line balancing 임
Niche Marketing
- Customer Segmentation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B2C 고객 너를 나의 평생의 고객으로 만들어 버리고 말겠어. 나에게 충성고객이 되어라... 그래야... 우린 서로 묶이고 묶인 관계 (마케팅 필요 노..)
Sustainability
Gather Input(TBL) - Lead (Define Goal) - Develop Program(Inplementation) - Assessment(Performance Check)
Planet : Is 어쩌고
People: CSR(기업사회정책) /UNGC Global Compoet
1) HELA (Human Right - Environment - Labor standard - anti polution)
Process: Commit-Assess-Define-Implement-Monitor-Communicate
Profit
1) Macro : AD-AS model / Leading/Lagging
2) Micro: 수요의 법칙 Price elasticity / Marginal analysis 하나 제품을 추가적으로 구매했을때 만족도
마지막으로 잘했는지 못했는지 확인해주는것이 있다..~!
Lead/Lag/Tracking Capacity Strategy

1) Lead capacity strategy
- 미래에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수요에 대비해 미리 capa를 늘려놓는 전략 / 캐파를 여유있게 갖춰두고 있기 때문에 납기speed측면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2) Lag capacity strategy
- Full capa를 운용하기 전까지 capa를 늘리지 않는 전략.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
3) Tracking capacity strategy
- 수요변화에 대응하여 capa를 조금씩 변동시키는 전략
- All demand is satisfied / High capacity utilization / Flexible system
[러닝시스템 연습문제]
- Capacity lagging strategy should always find plants working at full capacity
Business planning
Expected/projected Revenue
1) Financial Metrics => statement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 Horizontal: variance analysis
-Vertical : costing
a. Balance sheet : Activity ratio(잘 사용하고 있는지) / liquidity ratio (자산의 건전성)
- 스냅샷, 우리회사에 재고나 자산은?
유형이 있는 재산 : 재고(Inventory turns COGS/Average inventory)
보완재 Cash to cash cycle time
Days of inventory locked up + Days of A/R Days of A/P
*CCC 값은 적을 수록, 재고회전율은 높을 수록 좋습니다.
Liquidity Ration 유동성 지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
1) Asset:
- current asset: 유동자산/팔아서 얼른 현금화 시킬 수 있는것
2) Liability
- current liability : 1년안에 갚아야하는 부채
Current Ratio
Current Asset 에는 Inventory 가 들어감
근데 이제 이걸 빼고보자고 하는게
Quick Ratio(재고빼고 보는거)
b. Income
c. Cash flow
-Operation(sales)
- Finance
- Investment
Business Planning
Input - Process - Output
1) Horizontal Analysis
2) Vertical Analysis
3) Ratio Analysis
- Liquidity
- Activity
- Leverage
- Profitability
- Market Value
#etc
https://blog.naver.com/ye_en_t/223373154933
[CPIM]Business planning (Financial analysis)
비즈니스 플래닝 프로세스 Financial statement (Planning에서의 Input) costing 작업. 상품의 원가구조...
blog.naver.com
Cash Conversion Cycle = CCC
Cash to Cash Cycle time
https://blog.naver.com/tonysap/222606728769
CPIM 공부 -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 TOC)
<제약이론 (Theory of Constraints : TOC> * 제약이론 ☞ 시스템, 공정 또는 특정 절차의 역할 ...
blog.naver.com
- Theory of Constraints
Validation Check
Identify Potential Investment -> ROI, Payback, NPV, IRR -> Eligible for funding -> Rank Capital Project
**ROI, Payback: No consider time value of money
[현명아 마지막 파트.. Financial Part 제대로 봐라..~ 한번 더 확인해봐 ㅜ]
Operating Budget
Capital Budget
= Master Budget

체크포인트:
내가 수에 유난히 취약해서 그런지 Financial 가면 큰 나무가 갑자기 와장창 우당탕 됨.
여기를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먼저보고 그다음에 나무 한그루 한그루 확인해보는 작업이 필요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