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2급 EBS 강의 요약
I. 유통관리
경영학
1) 경영관리 : 계획 (planning)-> 조직화(organizing) -> 지휘 (motivation, leadership,communication)-> 통제 (controlling)
2) 경영기능: 생산, 마케팅, 인적자원관리, 재무, 회산
-
- 마케팅 4P : place (경로) , promotion(제품알리기)
-> 4P중 유통은 플레이스와 깊게 관련있음 (유통경로: Place)

4P
유통의 분류
유통: Distribution/분배
1) 상적유통 (상류) : 매매 -> 소유권이전 (물자의 흐름은 포함되지 않음)
2) 물적유통 (물류): 물자의 흐름 - 윤송, 보관, 하역, 포장, 정보
- 운송을 통해 창출되는것 : 장소적 효용/공간적효용
- 보관: 시간적효용
- 장소적 효용 + 시간적효용 = 수급조정 / 가격조정
etc. 유통조성
- 유통의 정의 : 분배하는것,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 생산자로부터 어떤 상품(재화)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이전하는 역할)
- 유통경로(채널) :생산단계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과정 [도매상 - 소매상 등등]
(생산-소비 연결역할, 시간적, 장소적, 소비적효용 부가가치 창출)
- 유통의 역할: 생산과 소비사이에 발생하는 사회적 시간적 장소적 불일치 해소 / 생산과 소비 사이의 수요와 공급 결합시킴)
1) 사회적 불일치 해소
사회적 불일치: 생산자와 소비자가 같지 아니하고 다름. (사회적 간격)
= 생산과 소비를 연결시킴 : 사회적 불일치 해소
2) 장소적 불일치
- 장소적 불일치를 해소함으로써 장소적 효용을 창출함 = 운송, 공간적, 지리적 불일치
3) 시간적 불일치
= 시간적 불일치 해소 : 보관 (시간적효용 창출)
- 유통산업과 경로
1) 유통산업: 도매상, 소매상 (제조업자 X) , 물류업체 (물적유통기관 )
: 유통기관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는 유통기구들의 집합 / 서비스업, 3차산업
제조업자 - 도매상 - 소매상 : 수직적 연결 (설계/관리 과정)
[유통경로 : Place of 4P]
- 유통관리의 목표: 운송/보관/포장/하역 등을 통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 개선 및 유통에 대한 비용 절감, 매출증대, 가격안정화
- 유통의 전락적 중요성:
4P중 나머지 세가지 요소 (Protmotion, product, price) 는 바꾸기 쉬움
However, Place는 한번 결정되면 바꾸기가 쉽지않음 = 비탄력적 (민감하게 대응하지 못함을 뜻함 / 유연성이 매우 낮음)
Therefore, 유통경로는 한번 만들때 제대로 만드는것이 중요. 왜? 나중에 변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
※낮은 유연성 , 비탄력성 = 한번 결정되면 바꾸기가 쉽지 않음
- 유통의 기능
1) 상적유통 : 매매를 통해서 소유권이 이전됨 / 소비자의 지각조정기능, 수량적, 품질적 조정 (모든 거래 내용 포함)
[소유권이전이 중심이 되지만, 지각적, 수량적 품질적 조정도 포함됨을 명심해야함]
2) 물적유통: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가공, 물류정보, 유통 조성기능 (표준화 및 등급화, 금융기능,시장조성기능, ) 늘나옴!!!
- 업종과 업태
1) 업종[kind of business]: 판매하는 제품 (무엇을 파는가? 판매하는 제품이 무엇인가?) 에 따라 구분
☆ 생산자, 제품중심적 시각 (의류점, 가구점, 가전제품점, 식품점)
상품을 만드는방법, 상품특성에 의해 분류. 제조업자 입장/시점
2) 업태[type of management]: 영업형태, 판매방식, 영업전략 (소매업, 도매업, 백화점, 무점포 소매업, 어쩌구~)
☆소비자/전략 지향적 시각
어떻게 상품을 파는가? 소비자에 초점을 맞춤 /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